로직 프로 X ▷ 로직 유튜브 강좌 정리 (해냄뮤직 로직 강좌 1강)
유튜브나 여러 사이트를 통해 공부한 로직 프로 X 사용법 정리
유튜브 채널 - 해냄뮤직
<로직도사의 새로운 로직강좌>
로직도사의 새로운 로직강좌 - 제 1강, "로직이란 무엇인가? 로직으로 초간단히 곡만들기 - 1부" (What is Logic Pro X)
다시 커리큘럼 정돈하고 로직 프로 강의합니다. 로직 뿐 아니라 화성학 편곡강의까지 주욱 고고씽입니다. 작편곡, 믹싱, 마스터링, 녹음 등 음악에 관련된 모든 작업합니다. 작업문의는 카카오톡 ID ‘hector626’으로 문의주세요. 친절하고 정성을 다해서 작업해드립니다. -로직도사 올림-
www.youtube.com
로직에 대해 기초부터 차근차근 배울 수 있게 영상을 올려 두셔서 종종 찾아들었던 채널인데,
최근 기존 강의를 비공개(?) 하고 새롭게 강의를 올리기 시작하셨다.
기존에 들었던 사람들은 복습하는 마음으로 들어보라고 해서 가벼운 마음으로 다시 듣기 시작했는데 생각보다 까먹은 부분이 많았다,,, ㅎㅎ
잘됐다! 생각하고 강의 찬찬히 들으면서 필요한 부분들 정리해 둬야지.
정리한 내용
단축키
new track : option + command + N
inspector : I
Library : Y
edit : E
keaboard (window - show keaboard) -> command + K
Quantize : Q
리젼 복제 : 복제하고 싶은 리젼 선택 -> Alt (option) 누르고 드래그
왼쪽 상단 Logic Pro X -> Preferences -> General 에 들어가서
startup Action 에서 로직 처음 실행 시 행동을 선택할 수 있다.
매번 로직 킬 때마다 최근 프로젝트 로딩하느라 오래 걸리는 부분이 답답했는데,
Do Nothing 으로 설정해두면 로직 실행 시 아무 화면도 안 뜬다! (처음 알았다,,,)
일단 로직은 실행해 두고 그 다음에 새 프로젝트를 열지 기존 프로젝트를 열지 선택할 수 있으니 좋아서 이렇게 바꿨다!
영상 마지막에 강조한 I/O Buffer Size
Logic Pro X -> Preference -> Audio 에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다.
I/O Buffer Size
= Resulting Latency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 녹음할 때는 낮추고, 믹싱할 때는 높이기.
= 컴퓨터 사양이 좋다면 낮은 숫자를 선택해도 괜찮다. 사양에 따라 선택 필요!
+ 믹싱할 때 높이는 이유
= 트랙마다 컴프레서, EQ가 많이 걸려 있어서 수치가 낮을 경우 컴퓨터가 느려짐.